해외여행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연봉 계산 원래 연봉은 세금을 제하기 전의 상태라고 알고 있는데,이직한 회사에서 연봉

원래 연봉은 세금을 제하기 전의 상태라고 알고 있는데,이직한 회사에서 연봉 계약서를 작성했습니다.총 연봉이 29,958,000원이고 월급여가 2,496,500, 시간외 근로수당 340,432원, 중식대 200,000원에 서명을 했는데요.오늘 급여 명세서가 와서 보니 실지급액이 2,696,520이더라고요. 네이버 연봉 계산기에 제 연봉을 29,958,000+ 중식대 2,400,000원을 넣으면 실수령이 2,392,417이 나오는데 어떻게 세금하나 안 떼고 연봉 그대로 받는거죠?

표면적으로 보면 세금이 하나도 안 빠진 것처럼 느껴지실 수 있지만,

실제로는 ‘비과세 항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수령액이 높게 나온 것이랍니다

지금 계약서에 명시된 구성 정리

  • 연봉: 29,958,000원 (기본급 기준)

  • 월 기본급: 2,496,500원

  • 시간외 수당: 340,432원

  • 중식대: 200,000원

  • → 총 월 수령 예상액 = 2,496,500 + 340,432 + 200,000 = 3,036,932원

급여 명세서 실수령액: 2,696,520원

즉, 실제 수령액은 위 총합에서 세금이 약 34만 원 정도 빠졌다고 추정돼요.

왜 네이버 연봉계산기보다 수령액이 더 많은가요?

네이버 연봉계산기는

기본급만 연봉으로 간주하고 세금을 계산해요.

✔ 반면 중식대 200,000원, 시간외수당 일부 등은 비과세 처리 가능해요.

✔ 예: 중식대 월 10만 원, 야근수당 일부 등은 세금이 면제되거나 줄어들어요.

요약하면

  • 연봉 29,958,000원은 기본급 중심 연봉

  • 실제 받는 월급에는 비과세 항목 포함

  • 따라서 세후 실수령액이 네이버 계산기보다 많을 수 있어요.

정리하면요~

✔ 세금을 안 떼는 게 아니라,

✔ 일부 항목이 비과세라서 수령액이 더 높게 나오는 구조입니다.

✔ 급여 명세서를 꼼꼼히 보면 소득세·4대 보험은 정상 공제되고 있을 거예요.

✔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