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갤러리
광고
아파트 가격 거품아닌가요? 요즘 집보러 다니는데 진짜 이해가 안가서 그렇습니다 부동산 하는 사장님도

아파트 가격 거품아닌가요? 요즘 집보러 다니는데 진짜 이해가 안가서 그렇습니다 부동산 하는 사장님도

요즘 집보러 다니는데 진짜 이해가 안가서 그렇습니다 부동산 하는 사장님도 명확하게 답을 못주시더라구요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1평에 천원인 땅에 10층을 올리면 1/10 가격에 +자재비 기술비가 붙는 개념이라면 이해가 가는데 천원짜리 땅이 아파트가 올라갔다고 만원 2만원이 되는 현상을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이것도 물론 럭셔리 프리미엄 붙고 커뮤니티 시설 잘 된 그런 아파트라면 비싸질 수 있겠죠 그래도 두배 세배씩 넘게 올라가는것도 이해가 안되긴 하지만요게다가 30년된 아파트가 신축 아파트랑 많아봐야 20%정도 밖에 차이가 안나고 그 옆에 신축빌라는 훨씬 저렴 합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 이유를 명확하게 알고싶고 빌라는 왜 가격이 안오르는지 알고싶습니다그리고 정부는 아파트 가격을 왜 자꾸 방어를 하려는 정책만 내는지도 궁금합니다

i

1. 천원짜리 땅이 아파트 올라갔다고 만원, 2만원 되는 이유

=> 단순 건축비 개념만으로는 아파트 가격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아파트 가격 = (땅값 + 건축비 + 기대 프리미엄 + 수요/공급 불균형 프리미엄) 구조예요.

  • 아파트는 "집"만 파는 게 아닙니다.

  • '입지', '생활 편의성', '희소성', '미래 기대가치'까지 팔고 있어요.

  • 천원짜리 땅에 10층 세우면 평당 천원이 1/10로 줄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좋은 입지에 좋은 상품(아파트)"은 사람들이 더 많이 원하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가는 겁니다.

  • 특히 한국은 땅이 희소해요. 수도권이나 대도시일수록 땅 자체가 '공급 제한'되어 있어 땅값이 급등합니다. 이게 건축비 이상으로 가격을 밀어올립니다.

  • 또한 재건축, 재개발 규제, 인허가 절차 복잡성 때문에 공급 자체가 쉽지 않다는 것도 프리미엄을 얹습니다.

요약-건축비에 입지+희소성+규제+수요 심리까지 더해져서 천원이 만원, 이만원 되는 겁니다.

2. 30년 된 아파트랑 신축이랑 가격 차가 별로 없는 이유

=> 이건 한국 부동산 시장의 '입지 선호 경향' 때문입니다.

  • 한국 사람들은 **위치(입지)**를 무조건 1순위로 봅니다.

  • → 교통, 학군, 인프라가 다 갖춰진 곳이라면, 건물이 오래돼도 위치가 깡패라서 가격이 잘 안 떨어져요.

  • 신축 아파트라도 위치가 애매하면 오히려 오래된 아파트보다 덜 비쌀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오래된 아파트는 재건축 기대감(ex: 30년 넘으면 재건축 추진 가능) 때문에 프리미엄이 껴있습니다. → "나중에 새 아파트로 탈바꿈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가격을 지지합니다.

3. 빌라는 왜 가격이 안 오르나요?

=> 빌라는 몇 가지 약점이 있어요.

  • 거주 수요가 낮습니다.

  • → 관리비 싸고 초기 구매가격이 싸지만, 커뮤니티(헬스장, 키즈카페 등)도 없고, 보안도 약하고, 주차 공간도 부족해서 선호도가 낮아요.

  • 대출 제한

  • → 빌라는 대출 규제도 아파트보다 심하게 받는 경우가 많아요.

  • 재개발 기대가 약함

  • → 빌라는 땅지분은 있더라도, 주변이 다 빌라/주택가라 개발 가능성이 낮으면 투자 매력이 없습니다.

  • 시장 유동성 낮음

  • → 사고팔 때 잘 안 팔립니다. 유동성이 약하면 가격 상승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신축 빌라도 아파트처럼 안 오릅니다. (입지 상관없이!)

4. 정부는 왜 아파트 가격을 자꾸 방어하려 할까?

=> 현실적으로 이유가 있습니다.

  • 아파트 = 국민 자산의 70% 이상

  • → 우리나라 가계자산의 절반 이상이 '집'입니다. 집값이 폭락하면 가계 전체가 무너지고, 소비도 얼어붙고, 금융 시스템도 위험해집니다.

  • 금융안정 문제

  • → 집을 담보로 대출받은 사람들이 많아요.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면 은행 부실이 터질 수 있습니다.

  • 표심 문제

  • → 집 가진 유권자들이 훨씬 많습니다. 집값 떨어지면 정치적 부담이 큽니다.

  • 건설 경기

  • → 아파트 건설 경기가 죽으면 경제 전반이 침체될 가능성이 큽니다. (관련 산업: 철강, 시멘트, 인테리어, 가전, 금융 등)

집값이 무너지는 건 단순히 "집값이 싸진다"가 아니라, 경제 전반 위기로 번질 수 있어서 정부가 무조건 연착륙시키려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 채택 부탁드립니다~